[KakaoTalk+] LOCO 프로토콜 분석 (4)
LOCO 프로토콜 분석 세번째 시리즈에 이은 네번째 시리즈이자, 마지막 시리즈 입니다. 4.5. LOCO 프로토콜 – sKey 추출하기 요전 포스팅의 댓글에도 달았듯이 패킷 구성이나 보내는 방법등에 대해서 열심히 설명해놓고.. 정작 중요한 세션키 추출 방법에...
Computer Security, Life, and others
LOCO 프로토콜 분석 세번째 시리즈에 이은 네번째 시리즈이자, 마지막 시리즈 입니다. 4.5. LOCO 프로토콜 – sKey 추출하기 요전 포스팅의 댓글에도 달았듯이 패킷 구성이나 보내는 방법등에 대해서 열심히 설명해놓고.. 정작 중요한 세션키 추출 방법에...
LOCO 프로토콜 분석 두번째 시리즈에 이은 세번재 시리즈입니다. Disclaimer: 두번째 시리즈가 포스팅 된 이후로 몇몇 카카오팀 관계자 분들께서 연락을 주셨습니다. 저는 지극히 개인적인 취미 활동으로 분석을 하고 알게된 내용을 공유할 뿐, 특정 또는 불특정의...
LOCO 프로토콜 분석 첫번째 시리즈에 이어 바로 시작합니다. 3. LOCO 프로토콜 – 기본 패킷 타입 및 BUY 커맨드 LOCO 프로토콜은 카카오팀에서 자체적으로 디자인 및 구현한 TCP/IP를 바탕으로 작동하는 request and response 프로토콜입니다. 앱...
작년 10월 즈음 카카오톡에서 메세징 시스템 기반을 다시 디자인하는 큰 공사를 치뤘습니다. 카카오톡 메세징의 scalability와 speed를 높이기 위해서 2011년 4월정도 부터 시작된 프로젝트인 일명 ‘겁나빠른황소’ 프로젝트는 약간의 시행착오를 겪으며 안정화되어 지금은 거의 모든 기기의...